lnb영역
수강신청
- 전체과정
- 자원봉사 관리자 공통 교육과정
- 자원봉사센터 이해하기
- 자원봉사 활동과 기획
- 자원봉사 활동 지원
- 자원봉사 조직 운영
- 자원봉사 관리자 직무 교육과정
- 활동처 담당자 직무교육[센터편]: 자원봉사 수요처 이해와 관리
- 재난대응 자원봉사 운영 직무 교육과정
- 자원봉사 기록관리 직무 교육과정
- 자원봉사센터의 인사.노무
- 한눈에 보는 지방계약법
- 정보공개 청구의 이해와 대응법
- 재난현장 통합자원봉사지원단 교육훈련
- 2025년 재난현장 통합자원봉사지원단 교육훈련
- 자원봉사관리사 2급 자격과정[선택 과목]
- 1365 자원봉사 포털 및 자원봉사 정보
- 자원봉사 플랫폼의 이해와 현황
- 재난재해와 자원봉사
- 자원봉사자 모집 및 홍보
- 자원봉사활동 일감 계획
- 자원봉사 정책과 제도
- 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이해
- 자원봉사 기록 및 아카이브 이해
컨텐츠 내용
- 수강신청
- 과정정보
인권친화적인 자원봉사현장
과정소개
ㆍ자원봉사현장에서 모든 사람이 인권을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. 당연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간과되기도 한다.
ㆍ자원봉사활동 자체가 인권의 고귀함을 실현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,
때로는 그 과정에서 자원봉사자를 비롯한 이들의 인권이 침해되기도 한다.
ㆍ인권이 보장받도록 하는 환경, 안전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?
이를 위해 인권보장의 필요성과 의미를 살펴보고 자원봉사 실천현장에서의 인권침해사례, 인권보장을 위한 방법 등을
알아본다.
ㆍ1차시 : 자원봉사 현장과 인권(서미화 시민교육활동가)
2차시 : 인권의 이해(정혁 베를린자유대 정치학 박사)
3차시 : 인권의 활용(정혁 베를린자유대 정치학 박사)
4차시 : 인권친화적인 자원봉사현장 실천편1(서미화 시민교육활동가)
5차시 : 인권친화적인 자원봉사현장 실천편2(서미화 시민교육활동가)
***과제가 있는 강의입니다. 수강 후 과제 제출까지 완료해야 수료됩니다. 수강시 확인부탁드립니다***
학습목표
우리에게 필요한 인권감수성을 일깨우고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여, 자원봉사관리자의 현장 적용 직무 역량을 강화한다.
수료기준
| 평가기준 | 진도 | 시험 | 과제 | 토론 | 기타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배점 | 80% | 0% | 20% | 0% | 0% |
| 과락기준 | 100% | - | - | - | - |
※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과락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10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.
| 차시 | 강의명 |
|---|---|
| 1차시 | 자원봉사현장과 인권 |
| 2차시 | 인권의 이해 |
| 3차시 | 인권의 활용 |
| 4차시 | 인권친화적인 자원봉사현장 실천편1 |
| 5차시 | 인권친화적인 자원봉사현장 실천편2 |